취업만 하면 최대 720만 원? (2025 청년 취업지원금 최신 정리)

2025. 7. 27. 14:28돈 관리의 모든 것

2025 청년 취업지원금 최신 정리

 

취업했더니 정부에서 돈을 더 준다고요?

 

2025년에도 여전히 시행 중인 청년 취업지원 제도들.
단 6개월만 근무해도 최대 720만 원 받을 수 있는 지원금도 있습니다.


하지만 대부분 몰라서 놓치고 있는 게 현실이죠.

지금 당장 확인하세요.
👉 “조건만 맞으면 그냥 받는 돈”입니다.

 

✅ 1. 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(국가 지원 최대 720만 원)

중소기업에 취업한 청년이라면,
1년 이상 근속 시 최대 720만 원을 현금으로 받습니다.

  • 대상 청년: 만 15~34세 미취업자
  • 대상 기업: 5인 이상 중소·중견기업
  • 지원 금액:
    • Ⅰ유형: 취업애로 청년 → 1년간 월 60만 원 (총 720만 원)
    • Ⅱ유형: 일반 청년 → 18개월 이상 근속 시 총 480만 원
  • 신청 방법:
    → 기업이 ‘고용24’ 통해 신청
    → 청년은 6개월 이상 근무 시 지원금 수령

📌 Tip
→ “내가 아니라 회사가 먼저 신청해야” 진행됩니다!
→ 취업 시, 회사가 도약장려금 대상인지 꼭 확인하세요.

 

✅ 2. 서울 청년취업장려금 (현금 50만 원)

서울 거주 청년이라면,
단 1개월만 근무해도 현금 50만 원을 받을 수 있어요.

  • 대상: 만 19~34세 서울 거주 청년
  • 조건: 취업 후 1개월 이상 근속
  • 지원 내용: 현금 50만 원 일시 지급 (1회성)
  • 신청 시기: 연 2회 선착순 모집
  • 신청 방법: 서울청년포털(청년몽땅정보통)

📌 Tip
→ 경쟁이 치열하니 모집 일정 미리 알림 신청 필수!

 

✅ 3. 지역형 청년일자리 연계 사업 (월급 외 지원금 지급)

서울·경기·부산 등 각 지자체에서 운영하는 청년 일자리 매칭형 사업도 많습니다.
보통 월급 외에 월 20~50만 원 별도 지원금이 붙습니다.

 

예시:

  • 경기도 면접수당, 청년디딤돌카드
  • 충북 청년행복일자리, 부산 청년디딤돌사업
  • 대상: 지역 내 거주 청년 + 지역 기업 취업자
  • 신청처: 각 지자체 홈페이지에서 상시 또는 기간제 모집

📌 Tip
→ “○○시 청년일자리 지원”으로 검색하면 나옵니다.
→ 지원금, 교통비, 면접비, 사후 장려금 등 다양한 형태!

 

❌ 폐지된 제도: 청년내일채움공제

  • 2023년 말 공식 종료
  • 2025년 현재 신규 가입 불가 (기존 가입자만 만기 운영 중)

 

📌 요약 정리

제도명 최대 수령액 주요 조건 신청처
청년일자리도약장려금 Ⅰ형 720만 / Ⅱ형 480만 중소기업 정규직 + 6~18개월 이상 근속 기업 → 고용24
서울청년취업장려금 50만 원 서울 거주 청년 + 1개월 이상 근무 서울청년포털
지역형 청년일자리사업 지역별 상이 지자체 요건 + 지역 내 중소기업 취업자 지자체 홈페이지

 

지금 취업했거나 곧 취업 예정이라면,
이 글이 1천만 원 이상의 기회를 만들 수 있습니다.

 

✅ 회사가 도약장려금 대상인지 확인하고
✅ 내 지역 청년정책도 꼭 찾아보세요!