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7. 7. 14:12ㆍ돈 관리의 모든 것
"연말정산에서 최대 115만 원 돌려받는 법"
"월 34만 원만 넣으면, 세금도 줄고 노후도 준비됩니다."
✅ 연금저축 = ‘세금 깎는 절세계좌’
📌 연금저축은 월급쟁이에게 가장 확실한 절세 수단입니다.
구분 | 내용 |
가입 대상 | 소득 있는 누구나 가능 (직장인, 프리랜서 등) |
세액공제 혜택 | 연간 납입액의 13.2% 환급 (총급여 5500만 원 이하 기준) |
공제 한도 | 연금저축만 단독: 연 400만 원 |
IRP 합산 시: 연 700만 원까지 가능 |
✅ 400만 원 넣으면 약 52.8만 원 환급,
✅ 700만 원 넣으면 최대 115.5만 원 환급 가능
✅ 연금저축 vs IRP, 뭐가 더 좋을까?
구분 | 연금저축 | IRP |
세액공제 한도 | 연 400만 원 | 연 700만 원 (연금저축 포함) |
중도인출 | 가능 (제한적) | 원칙적 불가 |
연금 수령 나이 | 만 55세 이후 | 동일 |
투자 가능 상품 | 펀드, ETF 등 다양 | 은행·보험·증권사 선택 가능 |
수수료 | 증권사 기준 낮음 | 금융사마다 다름 |
📌 전략:
👉 둘 다 가입 후,
👉 연금저축 400만 + IRP 300만 조합으로 채우는 게 가장 효율적
✅ 절세 효과 시뮬레이션
총급여 | 세액공제율 | 연 400만 원 납입 시 환급 |
5,500만 원 이하 | 13.2% | 52.8만 원 |
5,500만 원 초과 | 12% | 48만 원 |
📌 부양가족 소득공제와 합산하면,
실제 환급액은 더 커질 수 있음
✅ 가입은 어떻게?
📍 증권사·은행·보험사 앱/홈페이지에서 비대면 가능
✅ 추천: 연금저축펀드 (운용수익 가능성 높고, 수수료 낮음)
📍 IRP는 퇴직금용 계좌와 분리해 가입 가능
→ 단기자금이 아니라는 점만 유의
✅ 연금저축 가입 후 주의할 점
📌 5년 이상 유지 + 만 55세 이후 수령해야 ‘연금 세율’ 적용
→ 3.3~5.5% 저율 과세
📌 중도 해지 시?
→ 16.5% 기타소득세 부과
✅ 자주 묻는 질문
Q. 12월 말에 한꺼번에 납입해도 공제되나요?
A. 네. 납입일 기준으로 인정되기 때문에,
12월에 몰아 넣어도 공제 가능합니다.
Q. ETF도 연금저축에서 투자 가능한가요?
A. 네. 증권사 연금저축펀드는 국내외 ETF에 투자 가능
→ 단, 종목 구성은 직접 선택해야 함
Q. 연금저축과 IRP는 중복 공제 가능한가요?
A. 네. 합산 700만 원까지 공제
→ 연금저축 400 + IRP 300 추천
✅ 마무리하며
"연말정산으로 세금 돌려받고,
노후자금도 함께 준비할 수 있는 거의 유일한 방법."
📌 월 30만 원 투자로,
📌 매년 50만 원 이상 절세하고,
📌 20년 뒤엔 수천만 원의 연금이 생깁니다.
👉 연금저축, 지금 시작해도 늦지 않습니다.
'돈 관리의 모든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연말정산 미리보기 – 얼마나 돌려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7.06 |
---|---|
전세사기 피해자 후기 – 보증금 못 돌려받고 깨달은 것들 (0) | 2025.07.05 |
내가 못 받은 지원금, 언제 소급 신청할 수 있을까? (0) | 2025.07.04 |
정부지원금 모아보는 법 – 복지로·정부24 100% 활용법 (0) | 2025.07.03 |
서민금융진흥원 대출 총정리 – 긴급생계비부터 전세자금까지 (0) | 2025.07.0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