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7. 16. 14:23ㆍ돈 관리의 모든 것
"소득은 똑같은데, 왜 나는 세금을 더 내지?"
"종소세 신고, 틀리면 손해도 크고 불이익도 큽니다."
✅ 1. 사업용 계좌, 따로 쓰고 있나요?
📍 개인 계좌와 사업 계좌는 꼭 분리
- 매출·지출을 명확히 구분해야 경비 인정 쉬움
- 특히 경비 비율이 낮게 잡히는 업종은 필수
📌 홈택스 > 사업용 계좌 등록 가능
→ 신고서 작성 시 자동 연동
✅ 2. 경비증빙 자료 다 모았나요?
📍 경비 인정받으려면 증빙자료 필수
- 카드영수증, 현금영수증, 세금계산서, 계좌이체 내역 등
- 특히 지출결의서 없이 인출만 된 통장거래는 인정 안 됨
실수 많은 예시:
- 본인 식비, 교통비 등을 현금으로만 쓰고 기록 누락
✅ 가능하면 경비성 지출은 카드·이체로 남겨두기
✅ 3. 부양가족 공제 조건 확인했나요?
📍 부모님, 배우자, 자녀 공제 가능 조건:
조건 | 설명 |
소득 기준 | 연 100만 원 이하 |
동거 여부 | 무관 |
연령 요건 | 자녀는 만 20세 이하, 부모는 60세 이상 등 |
✅ 종소세 신고서 작성 시 ‘기본공제 대상자’로 추가해야 적용됨
✅ 4. 매출·수입 자료 누락 없는지?
📍 홈택스에서 자동 수집된 소득자료 누락 여부 확인 필수
✅ 확인 경로:
홈택스 > 종합소득세 신고 > 수입금액 불러오기
📌 간혹 '1회성 용역 소득'이나 '플랫폼 수수료 누락'이 발생함
→ 사후 수정신고 시 가산세 부담
✅ 5. 2024년 중간예납 세액 확인했나요?
📍 작년에 중간예납으로 낸 세금은
→ 올해 종소세 납부세액에서 차감
TIP:
- 홈택스 > 조회/발급 > 납부 내역에서 확인 가능
- 간혹 빠뜨리면 이중납부될 수 있음
✅ 6. 세액공제·감면 항목도 빠짐없이?
✅ 종소세도 근로자처럼 다양한 공제·감면 혜택 가능
항목 | 공제/감면 |
연금저축, IRP | 세액공제 (최대 700만 원) |
기부금 | 세액공제 (15~30%) |
보장성 보험료 | 소득공제 (최대 100만 원) |
중소기업창업감면 | 소득의 50~100% 감면 |
📌 “세액공제”는 직접 환급 효과가 있어 절세에 유리
✅ 자주 묻는 질문
Q. 장부 안 쓰고도 신고할 수 있나요?
→ 연 매출 7,500만 원 이하라면 간편장부 또는 추계신고 가능
Q. 부양가족 등록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?
→ 인적공제 불가 → 세금 수십만 원 더 나올 수 있음
Q. 신고 후 수정 가능하나요?
→ 기한 내 재신고 가능
→ 단, 환급받은 후 수정은 가산세 부담 주의
✅ 마무리하며
종소세는 “내가 직접 챙겨야” 하는 세금입니다.
✅ 놓치면 손해
✅ 잘 챙기면 환급
📌 신고 전 체크리스트 한 번만 점검해도
수십만 원 이상 차이 날 수 있어요.
'돈 관리의 모든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한전에너지캐시백 신청 방법 총정리 (아파트·원룸별) (0) | 2025.07.15 |
---|---|
출국 납부금 환급 서비스 신청방법 (2025 최신) (0) | 2025.07.14 |
종합소득자 절세 전략 – 인적공제부터 사업경비까지 (0) | 2025.07.13 |
연말정산 Q&A – 헷갈리는 질문 8가지 총정리 (0) | 2025.07.12 |
놓치기 쉬운 연말정산 항목 TOP 5 (0) | 2025.07.1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