2025. 7. 29. 14:16ㆍ돈 관리의 모든 것
2026년 최저시급이 10,320원으로 확정됐습니다.
최저임금 인상은 곧 월급과 연봉의 기준선이 달라진다는 뜻이죠.
이 글에서는
✅ 2026년 기준 시급·월급·연봉을 정리하고
✅ 연봉 3천만 원부터 1억 원까지 예상 실수령액을 표로 보여드릴게요.
✅ 실수령액이 체감보다 적게 느껴지는 이유까지!
🧾 2026년 최저임금, 월급과 연봉은 얼마일까?
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,320원입니다.
주 40시간 근무 기준(월 209시간 적용 시), 월급은 약 215만 원,
연봉으로 따지면 약 2,588만 원 선입니다.
구분 | 시급 | 월급 (209시간 기준) | 연봉 (12개월 기준) |
2025년 | 10,030원 | 2,096,270원 | 약 2,516만 원 |
2026년 | 10,320원 | 2,156,880원 | 약 2,588만 원 |
📈 최근 4년간 최저임금 인상률 추이
연도 | 시급 | 인상률 |
2023년 | 9,620원 | +5.0% |
2024년 | 9,860원 | +2.5% |
2025년 | 10,030원 | +1.7% |
2026년 | 10,320원 | +2.9% |
물가 상승률에 맞춘 현실적인 조정으로 평가됩니다.
💰 연봉별 실수령액, 실제로 얼마나 받을까?
연봉이 같아도, 세금과 4대 보험을 제하면 실제 수령액은 차이가 큽니다.
2026년 기준 연봉별 월 실수령액은 아래와 같습니다.
연봉 | 세전 월급 | 실수령 월급 (예상) |
30,000,000원 | 2,500,000원 | 약 2,240,000원 |
40,000,000원 | 3,333,333원 | 약 2,960,000원 |
50,000,000원 | 4,166,667원 | 약 3,690,000원 |
60,000,000원 | 5,000,000원 | 약 4,410,000원 |
70,000,000원 | 5,833,333원 | 약 5,130,000원 |
80,000,000원 | 6,666,667원 | 약 5,830,000원 |
90,000,000원 | 7,500,000원 | 약 6,530,000원 |
100,000,000원 | 8,333,333원 | 약 7,200,000원 |
※ 실제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수, 수당 구조, 연말정산 결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.
🔎 실수령액 계산기 사용 TIP
보다 정확한 실수령액이 궁금하다면
👇잡코리아 ‘실수령액 계산기’ 를 활용해 보세요!
❗ 실수령액, 왜 생각보다 적을까?
“월급이 올랐는데도, 왜 통장에 들어오는 돈은 별로 없지?”
그 이유는 다음과 같습니다.
1. 4대 보험 공제
월급에서 자동으로 빠져나가는 대표적인 비용은 4대 보험입니다.
- 국민연금: 약 4.5%
- 건강보험: 약 3.545% + 장기요양보험 0.455%
- 고용보험: 약 0.9%
→ 총 약 9.4%*가 공제됩니다.
여기에 연봉이 높거나 부양가족이 적다면, 소득세·지방세도 추가됩니다.
2. 수당 구조에 따라 달라지는 실수령액
- 주휴수당: 주 15시간 이상 근무 시 받는 유급휴일 수당이지만, 월급명세서에 별도로 찍히지 않는 경우도 많습니다.
- 식대, 차량유지비 등 비과세 수당: 세금 없이 전액 입금되는 항목입니다.
👉 예) 식대 10만 원이 비과세 수당이면, 세금 없이 그대로 수령 가능!
🔍 마무리
- 2026년 최저시급은 10,320원 → 월급 약 215만 원
- 실수령액은 약 195만 원 전후, 연봉별 예상 수령액표 참고
- 4대 보험, 세금, 수당 구조에 따라 실수령액은 달라짐
- 겉보기보다 덜 받는 느낌은 공제 항목 때문
- 정확한 계산은 실수령액 계산기 활용이 최선!
최저임금 인상은 분명 반가운 소식이지만,
막상 통장에 들어오는 금액을 보면 기대보다 적게 느껴지는 경우가 많습니다.
하지만 그 속에는 보험료, 세금, 수당 구조 등 놓치기 쉬운 변수들이 숨어 있죠.
월급명세서를 꼼꼼히 들여다보고, 세전 금액이 아닌 실수령 기준으로 내 상황을 이해하는 것,
그게 지금 내 재정 상태를 가장 정확하게 파악하는 방법입니다.
'돈 관리의 모든 것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민생 쿠폰 지원금 8월 안에 쓰세요 (5만원 더 받는 법) (0) | 2025.07.28 |
---|---|
취업만 하면 최대 720만 원? (2025 청년 취업지원금 최신 정리) (0) | 2025.07.27 |
청년이면 무조건 확인하세요. 최대 1억까지 지원됩니다 (2025 청년 지원 총정리) (0) | 2025.07.26 |
차상위계층 혜택 100% 활용법 – 놓치기 쉬운 복지들 (0) | 2025.07.25 |
30만 원 그냥 준다는데… 아직도 몰라? (2025 소비쿠폰 신청 총정리) (0) | 2025.07.24 |